밑바닥에 고무창을 붙여 걸을 때 발소리가 나지 않는 운동화
- 국립국어원
1. 휴양지의 샌드슈즈
철도가 막 발달하던 19세기, 영국의 노동자들은 바닷가에서 휴가를 보낼때 샌드슈즈(Sand shoe)를 신었어요. 가죽 혹은 밧줄(로프)로 만든 밑창과 캔버스 천을 이용한 신발이었죠. 1830년에 리버풀 러버 컴퍼니(Liverpool Rubber Company)가 이 샌드슈즈의 밑창을 고무로 만들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문제는 천부분과 밑창부분이 쉽게 떨어진다는 점이었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결합부분에 두꺼운 고무 밴드를 달아 제품을 개선했어요. 이때 고무 밴드의 모습이 화물선 외부에 적재량을 알려주는 표시인 플림솔 라인과 닮았다고 해서 플림솔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죠.
2. 크로켓 샌들
1868년에는 끈이 달려 더욱 편안해진 '크로켓 샌들'이 등장했어요. 크로켓 경기를 위한 스포츠 신발이었는데 당시 가격으로 6달러로 아주 비싼 가격이었는데요. 하지만 산업혁명으로 기계가 발달하면서 스니커즈의 가격에도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1897년 시어스 백화점 카탈로그에 스니커즈 한 켤레의 가격이 60센트로 실려있던 것을 보면, 불과 30여년 만에 비싼 신발에서 저렴한 신발로 바뀌게 된 것이죠.
3. 유명하고 오래된 스니커즈 브랜드
<케즈 챔피온 - 1916년> ⓒ Keds
1916년에는 US 러버 컴니(US Rubber Co.)와 굿이어가 합작하여 Keds를 설립하게 됩니다. 이제는 사라진 리버풀 러버 컴패니와는 달리 현재에도 볼 수 있는 브랜드이죠. Keds에서 나온 최초의 스니커즈인 Champion 또한 지금도 구입할 수 있답니다.
<컨버스 올스타 - 1917년> ⓒ Converse
컨버스는 세계 최초로 농구화를 제작했어요. 그게 바로 그 유명한 컨버스 올스타죠. 당시 농구 선수였던 척 테일러는 컨버스를 찾아가 이 농구화에 대한 개선점을 제안하였는데요. 이것이 계기가 되어서 척 테일러는 컨버스의 홍보와 유통을 담당하게 되고, 더 나아가 신발에 그의 이름이 붙게 되죠. 그의 노력 덕분에 컨버스는 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올스타는 미군의 공식 운동화가 되기도 했고, 1970년대 초에는 미군 공수부대에도 납품되었다고 합니다.
<아디다스 스탠스미스 - 1963년> ⓒ adidas
1963년 아디다스는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인 로버트 헤일렛(Robert Haillet)에게 세계 최초로 가죽으로 된 테니스 슈즈를 디자인해줄 것을 의뢰했어요. 당시까지 테니스 선수들은 캔버스화를 신고 있었죠. 로버트 헤일렛의 은퇴 후에는 당대 최고의 테니스 선수 중 한 명이었던 25살의 스탠 스미스와 계약을 체결했죠. 그래서 원래 이 스니커즈에는 로버트 헤일렛과 스탠 스미스의 이름이 나란히 써있다가, 나중에는 스탠 스미스의 이름만 남게되었답니다.
<아디다스 슈퍼스타 - 1970년> ⓒ adidas
아디다스 슈퍼스타는 사상 최초로 로우 탑으로 만들어진 가죽 농구화예요. 처음엔 농구선수 카림 압둘 자바가 신고 나오면서 큰 인기를 끌었죠. 하지만 슈퍼스타하면 떠오르는 셀럽은 힙합그룹 Run-DMC일 거예요. 평소에도 아디다스를 사랑하던 이들은 1986년 [My Adidas]라는 곡을 내기도 했죠. 이들은 신발끈 없이 신발혀를 밖으로 빼고 신는 스타일을 유행시켰어요. 아디다스는 Run-DMC와 백만 달러의 광고 계약을 체결했는데, 운동선수가 아닌 인물이 모델 계약을 따낸 사례는 스포츠웨어 브랜드 사상 최초였다고 하네요.
<나이키 에어 조던 1 - 1985년> ⓒNIKE
나이키의 농구화 에어 조던 1의 시그니처 컬러인 검은색과 빨간색은 혁명적인 것이었는데, 당시 NBA는 일정 부분 이상의 흰색이 포함된 농구화를 신도록 규정하고 있었거든요. 하지만 에어조던은 이러한 제재를 오히려 마케팅 기회로 활용했죠. 나이키는 마이클 조던이 에어조던을 신고 경기를 할 때마다 5000달러의 벌금을 지불했고, 광고 카피로 "NBA가 이 신발의 착용을 금지했습니다. 다행히도 NBA는 여러분이 이 신발을 신는 것은 금지하지 못합니다."를 쓰며 엄청난 대박을 이뤄냈죠.
하지만 유명한 이 일화는 사실이 아니라는 말도 많죠. 마이클 조던이 처음으로 나이키 에어 조던을 신었다고 알려져 있는 경기는 1984년 10월 18일 시카고 불스와 식서스의 경기인데요. 경기를 보면 하얀색 신발을 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죠. 이때의 신발은 나이키 에어 쉽(NIKE AIR SHIP)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요. 한편에서는 당시 경기 시작 전 연습 때는 에어 조던을 신고있었다는 말도 있죠.
<참고문헌>
Amber J. K. (2015). Sneaker Century, A History of Athletic Shoes. Twenty-First Century Books
Design Museum. (2009). Fifty Shoes that Changed the World. Conran
마티외 르 모. (2019). 1000 SNIKERS. 루비박스
'사소한 것들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라오케는 왜 한국에서만 노래방이라고 부를까? / 노래방의 역사 (0) | 2021.06.15 |
---|---|
첫 보행자 사망사고 낸 자동차는 시속 6km / 자동차 사고의 역사 (0) | 2021.06.14 |
자주 보는데 이름 모르는 '그것'들 / 뽁뽁이, 도로 꼬갈, 피자 삼발이의 역사 (0) | 2021.06.11 |
사람보다 사자가 먼저 탑승한 엘리베이터 / 엘리베이터의 역사 (0) | 2021.06.10 |
돈까스는 사실 프랑스에서 온거거든요 / 돈까스의 역사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