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1

  • 홈
  • 태그
  • 방명록

공휴일의 역사 1

대체공휴일 대체 언제부터? / 공휴일의 역사

국경일, 경축일, 일요일같이 국가나 사회에서 정하여 다 함께 쉬는 날이나 기관이나 같은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끼리 약속 에 따라 정기적으로 일제히 쉬는 날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3, 55, 99 조선시대 공휴일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공휴일의 개념보다는 민간에서 자발적인 휴일이 많았어요. 설날(1월 1일), 상원(1월 15일), 단오(5월 5일), 추석(8월 15일)이 대표적인 4대 명절이었고요. 이 밖에도 동제와 영등맞이, 한식, 삼짇날, 불탄일, 유두, 복날, 칠석, 백중, 중앙절, 묘제, 동지, 제석 등이 공적인 휴일에 해당했죠. 관공서에서 규정되어 있는 휴일은 이와는 조금 달랐어요. 태종실록 22권(1378년)을 보면 관공서 휴무일에 관한 기록이 나오는데요. 매월 10일마다 한 번씩 휴무(..

사소한 것들의 역사 2021.07.13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Fig.1

사소한 것들의 역사를 기록합니다

  • 분류 전체보기
    • 사소한 것들의 역사
    • 역사 소비

Tag

국내 증권시장의 역사, 조폭의 역사, 공휴일의 역사, MSG의 역사, 청바지의 역사, 톰 아저씨의 오두막, 후드티의 역사, 복어 식용의 역사, 복어 식용, 사소한 것들의 역사, 올림픽의 역사, 오락실의 역사, 붕어빵의 역사, 한옥의 역사, 우산의 역사, 통조림의 역사, 라면의 역사, 전기조명의 역사, 국내 증권시장, 티셔츠의 역사,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 블로그 이전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