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일, 경축일, 일요일같이 국가나 사회에서 정하여 다 함께 쉬는 날이나 기관이나 같은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끼리 약속 에 따라 정기적으로 일제히 쉬는 날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3, 55, 99 조선시대 공휴일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공휴일의 개념보다는 민간에서 자발적인 휴일이 많았어요. 설날(1월 1일), 상원(1월 15일), 단오(5월 5일), 추석(8월 15일)이 대표적인 4대 명절이었고요. 이 밖에도 동제와 영등맞이, 한식, 삼짇날, 불탄일, 유두, 복날, 칠석, 백중, 중앙절, 묘제, 동지, 제석 등이 공적인 휴일에 해당했죠. 관공서에서 규정되어 있는 휴일은 이와는 조금 달랐어요. 태종실록 22권(1378년)을 보면 관공서 휴무일에 관한 기록이 나오는데요. 매월 10일마다 한 번씩 휴무(..